Home > 전체기사

비대면 서비스 개발 단계부터 보안 강화 지원한다

입력 : 2022-02-10 12:03
페이스북 보내기 트위터 보내기 네이버 밴드 보내기 카카오 스토리 보내기 네이버 블로그 보내기
과기정통부와 KISA, 신기술 적용 비대면 서비스 보안 강화 시범사업 공모
비대면 서비스(진료·교육·근무·유통) 대상 총 4개 과제, 과제별 최대 8.9억 원/총 35.6억 원 지원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는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비대면 서비스 확산을 위해 ‘신기술 적용 비대면 서비스 보안 강화 시범사업’ 공모를 진행한다고 2월 10일 밝혔다.

[이미지=utoimage]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산업 전반이 빠르게 비대면으로 전환되는 동시에 최근에는 진료, 교육, 근무 등 다양한 영역에 메타버스와 같은 IT신기술이 접목된 비대면 서비스가 산업 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KISA는 급변하는 비대면 산업이 예측 가능한 안전장치 안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비대면 서비스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보안 내재화를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시행한다. KISA는 IT 신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진료·교육·근무·유통) 대상으로 총 4개 과제를 선정해, 매칭펀드 방식으로 과제별 최대 8.9억 원 규모로 총 35.6억 원을 지원한다.

또한, 개발된 비대면 서비스 및 제품을 대상으로 기술가치평가를 시행하여 투자 유치 등 사업화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KISA에서 운영 중인 보안리빙랩을 활용해 보안성 점검 및 컨설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별도 제한은 없으나, 국민에게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 중이거나 제공 예정인 기업·기관을 수요기관으로 반드시 포함해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

공모 접수는 2월 7일(월)부터 3월 7일(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신청 방법 등 공모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KISA 입찰공고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한 사업 설명회는 2월 11일(금)부터 KISA SNS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KISA 디지털보안산업본부 최광희 본부장은 “최근 비대면으로 구현되지 않은 인터넷 플랫폼과 서비스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비대면 환경이 일상화되었다”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비대면 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발굴·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원병철 기자(boanon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0
  • 페이스북 보내기 트위터 보내기 네이버 밴드 보내기 카카오 스토리 보내기 네이버 블로그 보내기

  •  SNS에서도 보안뉴스를 받아보세요!! 
2025 보안시장 백서 위즈디엔에스 2018
설문조사
올해 회사에 꼭 도입하고 싶은 보안 솔루션 또는 플랫폼은 무엇인가요?
XDR
EDR
AI 보안
제로트러스트
공급망 보안 체계(SBOM)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기타(댓글로)